교육의 근본은 배려깊은 사랑입니다
언어와 의사소통
우리는 아기가 태어나는 시점부터 아이와 의사소통을 시작한다.아기는 울음으로 아픔을 나타내고.환한 미소로 기쁨을 나타내면서 우리와 이야기한다.아기의 의사표현에 반으을 보임으로써 우리는 아기에게 그 내용을 이해했다는 뜻을 전할 수 있다.
어린 아이들은 먼저 대상과 행동에 의미를 결부시켜 다른 사람들이 하는 말을 이해한 뒤에야 스스로 말을 할 수 있다.아이들이 들은 말을 이해하는 정상 연령대는 생후 6개월에서 9개월 사이라고 한다.평균 연령은 생후 8개월이다.전문가들은 아기에게 이야기를 많이 해줄수록,새로운 말을 이해하는 아기의 능력이 놀랄 정도로 빨리 향상된다고 말한다.
아이가 어떻게 말하는 법을 배우는가
아기가 단어를 배우려면 말을 들을 수 있어야 하고 집중해서 사람과 물체를 볼 수 있어야 한다.특히 입 주변의 감각을 느낄 수 있어야 하며,입술을 움직이는 법과 다른 소리를 만드는 법을 배워랴 한다.아이는 보고,듣고,만지고,맛본 것을 분류하고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아기는 들으면서 말하는 법을 배운다.아기가 많은 단어를 들으면 들을수록 더 빨리 말을 배운다는 연구결과가 있다.아기가 많은 단어를 접할 때마다 언어능력을 증진시켜주는 두뇌의 시냅스가 더 완벽하게 형성된다.하지만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언어가 아니라 '실생활' 속의 언어만이 아이의 언어발달 기술에 도움이 된다.전문가들은 그 이유가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과 관련된 언어가 아니면 단지 잡음에 불과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맥아더(MacArthur)의사소통 능력지수에 따르면 생후 12개월 된 아이는 약 55개까지의 단어를 이해하지만,그 가운데 한두단어밖에 말하지 못한다.평균적으로 생후 16개월 된 아이는 대략 170개까지의 단어를 이해하지만 그 가운데서 단지 25개의 단어만 말할 수 있다.스탠퍼드대학교의 심리학자 엘렌 마크맨은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할 때 모든 단어의 의미를 알 필요는 없다고 한다.세 가지 기본적인 가정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단어의 뜻을 알아내기 때문이다.
첫째,아이는 '컵'이라는 단어가 손잡이가 아니라 그 물건 전체를 가리킨다는 사실을 이해한다.
둘째,아이는 한 단어가 그 물건 하나만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와 비슷한 모든 물건을 가리킨다는 사실을 안다.하지만 항상 정확한 결론을 이끌어내지는 못한다.예를 들어 아이는 비치볼도 공이고 야구공도 공이기 때문에 둥근 오렌지도 공이라는 잘못된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셋째,아이는 한가지 물건에는 한가지 이름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풍부한 언어환경 만들기
아이에게 풍부한 언어환경을 만들어주면, 의사소통을 하고싶다는 동기를 부여해주게 되고,결과적으로 아이는 용기를 내서 말을 하게 된다.
아이가 이끄는 대로 따라가라
연구가들은 아이에게 강요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아이가 이끄는대로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아이를 사랑해주고 아이의 행동에 반응을 보여줘야 한다.그러면 아이는 자신이 중요한 존재라는 사실을 느끼며 자아를 확립해나간다.아이는 또한 자신을 돌봐주는 당신도 특별한 존재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아이의 신뢰로 인해 당신은 앞으로 아이의 학습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아이가 당신과 의사소통을 하기 시작하면 아이의 생활에 중심이 되는 단어와 물건 혹은 그 순간 주의를 집중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자.예를 들어 아이가 나무 위로 올라가는 다람쥐를 가리키고 있을 때,길을 가로질러 가는 개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말라.아이가 관심을 기울이는 그 다람쥐에 대해 이야기해야한다.
아이의 발걸음으로 가라
많은 부모들이 자기 아이의 언어잘달속도를 형제자매나 이웃에 사는 다른 아이들의 언어발달 속도와 비교한다.하지만 만2살 무렵 아이들의 언어발달 속도는 다양하다.아이에게 너무 많거나,적은 기대는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아이가 모든 단계에서 적절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지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훌륭한 청취자가 되어라
처음에 아이와 당신의 관계은 일방적이다.당신이 이야기하면 아이는 듣는다.하지만 아이는 태어나자마자 소리와 얼굴 표정으로 자신을 표현하기 시작한다.아이가 웅얼거리면 조용히 그 소리에 귀를 기울여라.하던 일을 멈추고 아이의 눈을 바라보아라.가까이 다가가서 허리를 구부리고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 후,반응을 보여주자.아이가 한 말을 반복해서 말하거나 긍정하고 "아,그랬니?"와 같이 그 내용을 이해했다고 호응한다.당신이 훌륭한 청취자가 되면 아이에게 모든 의사소통의 기본인 차례를 기다렸다가 말하는 법을 가르쳐줄 수 있다.
훌륭한 본보기가 되어라
아이는 자신이 말한 언어를 배운다.아이는 말을 하기 전에 당신이 하는 모든 말과 어떻게 말하는지에 귀를 기울인다.그리고 당신에게서 들은 패턴을 흉내낸다."배고파서 맘마 먹고 싶구나"하고 말하지 마라.유아언어를 사용하는 대신 이렇게 말해보자."배고파서 우유 먹고 싶구나."당신이 정확하게 말하는 시범을 보여야 아이가 정확하게 말하는 법을 배우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를 부르며, 시를 읊어준다
일부 전문가들은 아이에게 음악을 들여주면 정보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고,아이의 언어발달 괴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한다.음악을 들은 아이는 소리의 차이를 구별하고, 들은 말을 반복해서 말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훌륭한 청취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전문가들은 아이가 음악과 언어를 이해할 때 두 뇌의 같은 부위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생각한다.아이는 노래를 들으면서 언어의 흐름을 배우고 어휘력을 쌓는다.가능하면 아이가 몸을 움직이면서 노래를 부르게 하라.예를 들어 아이엑 자기 신체부위를 가리키고, 자기 손가락과 발가락을 만지며 노래해보라고 말하자.
조용히 혼자 지내도록 해주라
전문가들은 아이에게 자극을 주는 것 외에도 혼자서 세계를 탐험할 기회를 줌으로써 아이의 지능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아이는 부모가 설명을 해주거나 지시를 내려주지 않아도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다.
아이에게 책 읽어주기
책을 많이 읽어주면 아이는 점차 이야기에 시작과 본문 그리고 결말이 있다는 사실을 이해한다.또한 아이는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될지 혹은 어떻게 끝날지를 알아내려고 기다리면서 집중력을 키운다.